상담이론37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의 원칙(손다이크의 법칙) 1. 동물 지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① 문제상자(puzzle box)를 만들고 고양이를 넣은 다음,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고 밖으로 나올 때까지 소요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② 고양이는 상자 밖의 먹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밟아서 문이 열렸고 먹이를 먹었다. ③ 그 다음에도 다양한 반응을 하지만, 조금 더 빨리 지렛대를 밟았다. ④ 시행이 반복됨에 따라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고 바깥으로 나오는 반응시간이 짧아졌다. 2. 시행착오 학습(trial-and error learning) - 고양이의 문제해결 방법 ① 여러 가지 반응들을 임의적으로 해 보다가, 그 중 어느 하나가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그 반응이 여러 .. 2023. 5. 23.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조작적조건학습(스키너) 1. 개념 - 반복되는 실패를 경험한 후에 환경에 대해 동체를 할 수 없다는 무기력을 학습하는 것 - 우울의 원인에 대한 근거로 우울한 사람들은 무엇을 해도 소용이 없다고 믿는다. 2. 셀리그만의 동물 실험 - 개들에게 피할 수 없는 고통수러운 전기충격을 주고, 이후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꾸어 주었다. 피할 수 없는 전기충격을 경험했던 개들은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는 상황에 놓여도 피하려 들지 않는다. 3. 귀인이론과의 연관성 - 초기 학습된 무기력 이론은 귀인이론을 추가해서 우울증에 대한 설명을 확장한다. - 통제가 불가능한 경험을 내적이고 안정적이며 전반적인 원인에 귀인시키면 우울해진다. - ex) 성적이 낮을 때, '시험이 어려웠어!'라고 외부 귀인하기보다는 '머리가 나빠서 그래'라고.. 2023. 5. 22. 프리맥의 원리(Premack) 및 예시 -조작적 조건형성 #프리맥의원리 #조작적고건형성 #프리맥 - 생활 속 조작적 조건화의 한 종류 - 1965년 프리맥(D. Premack)이 체계를 세워 정리한 것으로 프리맥의 원리라고 불린다. - 빈도가 높은 행동은 빈도가 낮은 행동에 대해서 강화력을 갖는다는 원리 - 요점은 사람들에게 어떤 한 가지 활동을 끝마친 후, 보다 더 바람직한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주겠다고 약속함으로써 그 활동에 몰두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 학생들이 좋아하는 활동이 그들이 좋아하지 않는 일을 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강화물로서, 싫어하거나 잘 하지 않는 행동을 촉진시키는 데 사용한다. - 흔히 교사들은 학생들이 어떤 공부를 끝낸 후 자유시간을 줄 때 이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 바람직.. 2023. 5. 22.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원리 및 인물별 적용 연구사례 1. 시간의 원리(time principle) 조건자극을 무조건자극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제시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조건형성이 이루어진다.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 간의 제시 간격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조건형성은 어려워지는데 가장 적당한 시간적 간격은 약 0.5초 이내여야 하고, 5초 이상 지연되면 조건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2. 강도의 원리(intensity principle) 무조건자극 다음에 제시되는 조건자극(종소리나 불빛)의 강도는 쉽게 지각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강력하게 제동되어야 한다. 3. 일관성의 원리(constancy principle) 조건형성을 이루기 위해 제시되는 조건자극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처음에 조건자극으로서.. 2023. 5. 20.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