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의 기능

by heimish_0907 2023. 5. 30.
반응형

 

-사회학습이론-

 

 

<모델링의 기능>

 

- 반두라는 모델링의 주된 기능을 반응 촉진, 억제와 탈억제, 관찰학습의 세 가지로 구별하였다.

1. 반응 촉진

1) 사람들은 많은 기능과 행동을 배우는데, 배운 것들을 행동으로 옮길 동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제로 수행하지 않는다.

2) 반응 촉진이란 관찰자들이 적절하게 행동하게 하는 사회적 자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델화된 행동을 일컫는다.

2. 억제와 탈억제

1) 모델을 관찰하는 것은 이전에 학습된 행동에 대한 억제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

2) 억제(inhibition) : 모델들이 어떤 행동을 수행한 것 때문에 벌을 받았을 때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관찰자가 그러한 행동을 그만두도록 하고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3) 탈억제(disinhibition) : 모델들이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지 않은 채 위협적이거나 금지된 행동을 수행할 때 일어나며, 관찰자들로 하여금 동일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4) 행동에 대한 억제, 탈억제 효과는, 모델의 행동이 관찰자들에게 만약 자신들이 모델화된 행동을 수행한다면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전달해 주기 때문에 일어난다.

3. 관찰 학습

1) 모델링을 통한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은 관찰자가 새로운 행동 패턴들을 보여줄 때 일어난다.

2) 이 행동 패턴들은 관찰자의 동기 수준이 높더라도 모델화된 행동을 접하기 전에는 발생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이다.

3) 핵심적인 과정은 새로운 행동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정보가 모델로부터 관찰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4) 관찰 학습은 네 가지의 과정, 즉 주의집중(attention), 파지(retention), 산출(production), 동기화(motivation)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45

 

2023.05.30 - [상담이론] -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 개념

2023.02.05 - [상담이론] - [상담이론]실존적심리치료의 개요_롤로메이,빅터프랭클,어빈얄롬

 

[상담이론]실존적심리치료의 개요_롤로메이,빅터프랭클,어빈얄롬

● 실존적 심리치료 ▶실존적 심리치료의 개요_루트비히 빈스방거(Ludwig Binswanger, 1881~1966), 메다드 보스(Medard Boss, 1903~1990), 롤로 메이(Rollo May, 1909~1994),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 1905~1997), 어빈 얄롬

heimish0907.tistory.com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 개념

-사회학습이론- < 모델링(modeling) = 모방 > - 모델과 동일시하려는 성향 -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들으며 그 행동을 따라서 하는 것이다. - 모델링의 효과는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 모델

heimish0907.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