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학습이론 구분
|
행동주의 학습이론
|
인지주의 학습이론
|
강조점
|
요소 강조(미시적 입장)
|
전체 강조(거시적 입장)
|
전체와 부분의 관계
|
부분들의 합=전체(환원주의)
|
전체=부분들의 합 이상
|
학습기제
|
말초적 기제/자극-반응의 결합
|
중추적 기제/인지구조의 변화
|
학습의 과정
|
점진적,순차적인 과정
|
돌발적,비약적인 과정
|
문제해결
|
시행착오적 문제해결
|
통찰적 문제해결
|
이론의 특징
|
경험론적,객관적 입장
|
생득록전,주관적 입장
|
학습에의 적용
|
훈련,습관형성의 학습
|
개념 습득,사고활동의 학습
|
학습방법에의 공헌 /
상담방법에의 공헌 |
프로그램 학습법 / 행동수정
|
발견학습법, 구성주의적 학습모형 / 인지치료
|
교육관
|
통제 교육
|
열린 교육(open education)
|
이론적 배경
|
행동주의 심리학
|
형태심리학, 인지주의 심리학
|
*인지주의 학습이론
- 경험의 결과로써 일어나는 행동의 변화를 다루는 행동주의이론과는 다르게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정신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행동의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준비하는 개인의 정신적인 구조의 변화를 다룬다.
- 학습에 관한 인지적 접근은 인간의 기억, 지각, 언어, 추리, 지식, 개념형성, 문제해결 또는 인간의 내재적인 심리과정과 정신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접근으로, 처음에는 형태주의 이론이나 통찰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되는 인지심리학에서는 주로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을 연구한다.
- 인지주의 이론은 형태주의 심리학과 인지적 장(場) 이론이 근간이 되어 초기 인지심리학이 발전되었으며, 그 후 많은 교수이론가들이 인지이론의 발전에 기여한다.
- 인지주의는 인간 행동의 습득,조형에는 복합적인 정신적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지란 우리 머릿속에 일어나는 일련의 지적 과정을 말한다.
- 인지론자들은 행동주의자와 달리 우리 눈으로 직접 관찰 가능하지는 않지만 우리 두뇌 속에서 벌어지는 외부 감각적 자극의 변형, 기호화 또는 부호화(encoding), 파지(retention), 재생 또는 재인(recall)이라는 일련의 정보처리 과정을 연구한다.
- 그들은 심리학의 연구 대상의 초점을 다시 행동에서 마음으로 바꾸어 놓은 셈이며 또한 학습을 인간이 새로운 통찰, 인지구조를 획득하는 상호작용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은 인지구조를 습득하는 것이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38
2023.05.24 - [상담이론]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S형 조건화설 R형 조건화설 자극이 반응 앞에 온다(S→R) 반응이 보상 앞에 온다(R→S) 반응은 추출(인출)된다(elicited). 반
heimish0907.tistory.com
2023.05.19 - [상담이론] - 학습의 종류 - 연합학습, 비연합학습
학습의 종류 - 연합학습, 비연합학습
1. 연합학습 - 두 사건 간의 연관성을 배우는 것 1) 고전적 조건형성 : 두 자극 사이의 관련성을 배우는 것으로 유기체가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비하게 한다. 파블로프가 대표적 학자. 2) 도구적
heimish0907.tistory.com
2023.05.19 - [상담이론] - 학습의 정의,공식-학습이론
학습의 정의,공식-학습이론
- 학습이란 경험과 훈련에 의해 일어나는 행동상의 비교적 일관성 있는 변화를 의미한다. - 학습은 행동의 변화로 본다. 학습의 결과는 관찰 가능한 외현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내면적
heimish0907.tistory.com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의 기능 (0) | 2023.05.30 |
---|---|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 개념 (0) | 2023.05.30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0) | 2023.05.24 |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의 원칙(손다이크의 법칙) (0) | 2023.05.23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조작적조건학습(스키너)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