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의 원칙(손다이크의 법칙) >
1. 동물 지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① 문제상자(puzzle box)를 만들고 고양이를 넣은 다음,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고 밖으로 나올 때까지 소요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② 고양이는 상자 밖의 먹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밟아서 문이 열렸고 먹이를 먹었다.
③ 그 다음에도 다양한 반응을 하지만, 조금 더 빨리 지렛대를 밟았다.
④ 시행이 반복됨에 따라 고양이가 지렛대를 밟고 바깥으로 나오는 반응시간이 짧아졌다.
2. 시행착오 학습(trial-and error learning) - 고양이의 문제해결 방법
① 여러 가지 반응들을 임의적으로 해 보다가, 그 중 어느 하나가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그 반응이 여러 시행에 걸쳐 점진적으로 습득되는 식의 학습을 의미한다.
② 고양이는 지렛대를 밟는 것과 문이 열리는 것 사이의 관계성을 획득한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문제해결에 대한 통찰을 했다면, 그 후부터는 일정하게 문제해결 방법을 사용해야 하지만, 고양이의 문제해결 행위의 수행은 느리고 점진적으로 향상되기 때문이다.
③ 고양이의 다양한 반응은 약화되는 대신에, 정확한 반응이 강화됨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3.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① 반응 후에 수반되는 결과가 바람직한 것이면 그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증가되고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확률이 감소되는 것이다.
② 고양이(동물)는 문제해결을 위해 생각하거나 이해할 필요가 없고 어떤 반응 후에 보상이 오면 그 반응이 더욱 잘 수행될 뿐이다.
4. 연습의 법칙(law of exercise)
- 연습의 횟수나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결합은 강화되고 횟수가 적거나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결합이 약화된다는 것이다.
5. 준비성의 법칙(law of readiness)
- 학습하는 태도나 준비와 관련하여 그러한 준비 자세가 되어 있을수록 결합이 용이하고 그렇지 못하였을 때에는 결합이 약화된다는 것이다.
6. 중다 반응(multiple response)
① 모든 학습에서 일어나는 첫 번째 단계, 첫 번째 반응이 문제해결을 하지 못하면 다시 다른 반응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② 어떤 반응이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유기체는 활동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29~30
2023.05.22 - [상담이론] - 프리맥의 원리(Premack) 및 예시 -조작적 조건형성
프리맥의 원리(Premack) 및 예시 -조작적 조건형성
#프리맥의원리 #조작적고건형성 #프리맥 < 프리맥(Premack)의 원리 > - 생활 속 조작적 조건화의 한 종류 - 1965년 프리맥(D. Premack)이 체계를 세워 정리한 것으로 프리맥의 원리라고 불린다. - 빈도가
heimish0907.tistory.com
2023.05.22 - [상담이론]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조작적조건학습(스키너)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조작적조건학습(스키너)
1. 개념 - 반복되는 실패를 경험한 후에 환경에 대해 동체를 할 수 없다는 무기력을 학습하는 것 - 우울의 원인에 대한 근거로 우울한 사람들은 무엇을 해도 소용이 없다고 믿는다. 2. 셀리그만의
heimish0907.tistory.com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0) | 2023.05.25 |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0) | 2023.05.24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조작적조건학습(스키너) (0) | 2023.05.22 |
프리맥의 원리(Premack) 및 예시 -조작적 조건형성 (0) | 2023.05.22 |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원리 및 인물별 적용 연구사례 (0) | 2023.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