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습이론-
< 모델링(modeling) = 모방 >
- 모델과 동일시하려는 성향
-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들으며 그 행동을 따라서 하는 것이다.
- 모델링의 효과는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 모델의 지위와 신분관계, 신뢰의 정도와 전문성 여부, 모델 학습의 횟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아이들에게 협조적이고 이타적인 태도를 갖게 하려면 그렇게 되라고 말하기보다는 협조적이고 이타적인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모델링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
① 모델의 특성 : 자신과 유사하다(예를 들어 나이, 성, 지위, 명예, 행동 유형 등)고 믿는 사람에게서 영향 받을 경향이 많다.
② 관찰자의 특성 : 자존감이나 자신감이 낮은 사람들이 특히 모델을 모방할 경향성이 높고 의존적인 사람이나, 이전에 모델링을 해서 보상받는 경험이 있는 사람이 모방할 가능성 높다.
③ 행동과 관련된 보상 결과 : 행동이 정적 강화를 가져온다고 믿으면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44
2023.05.25 - [상담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학습이론 구분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강조점 요소 강조(미시적 입장) 전체 강조(거시적 입장) 전체와 부분의 관계 부분들의 합=전체(환원주의) 전체=부분들의 합 이상 학습기제
heimish0907.tistory.com
2023.02.07 - [상담이론] - [상담이론]현실치료의 개요_윌리엄글래서
[상담이론]현실치료의 개요_윌리엄글래서
● 현실치료 ▶ 현실치료의 개요_윌리엄 글래서(William Glasser, 1925~2013) 현실치료(Reality Therapy)는 윌리엄 글래서가 창시한 심리치료법으로서 행동의 선택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그의 선택이
heimish0907.tistory.com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마(hippocampus)-스트레스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구조물(feat.부신피질호르몬) (0) | 2023.05.31 |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모델링(modeling)의 기능 (0) | 2023.05.30 |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0) | 2023.05.25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 (0) | 2023.05.24 |
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의 원칙(손다이크의 법칙)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