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

[상담이론]실존적심리치료의 개요_롤로메이,빅터프랭클,어빈얄롬

by heimish_0907 2023. 2. 5.
반응형

● 실존적 심리치료

 

▶실존적 심리치료의 개요_루트비히 빈스방거(Ludwig Binswanger, 1881~1966), 메다드 보스(Medard Boss, 1903~1990), 롤로 메이(Rollo May, 1909~1994),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 1905~1997), 어빈 얄롬(Irvin Yalom, 1931~현재)

 

  인간은 죽음이라는 실존적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죽음은 인간이 가장 두려워하는 불안의 원천입니다.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 중에는 죽음을 비롯하여 고독이나 무의미와 같이 인간의 실존적 조건과 관련된 것이 많습니다. 많은 현대인들이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한 채 허무감과 무의미감을 느끼는 실존적 우울증에 빠져 있습니다. 실존적 심리치료는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인간의 실존적 조건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고 치료하는 접근방법입니다.

 

  실존적 심리치료(existential psychotherapy)는 실존주의 철학에 뿌리를 둔 심리치료입니다. 실존주의(existentialism)는 인간 존재에게 주어진 궁극적인 속성인 실존(existence)에 대한 탐구를 기본으로 하며 죽음, 자유, 고독, 무의미와 같은 존재의 궁극적인 문제를 다루는 동시에 이를 직면함으로써 삶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의미를 발견하는 진실한 사람을 살게 하는 실천의 철학입니다. 이에 기반하고 있는 실존적 심리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상황을 직면하여 인식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여 실천하는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실존적 심리치료는 명료한 이론체계나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중시하지 않으며 단일한 이론으로 체계화되기 보다는 일종의 치료적 철학으로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합니다.

 

  실존적 심리치료는 정신분석과 행동주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습니다. 무의식과 성적인 충동 그리고 과거에 사로잡힌 인간관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조건에 의해 통제되고 조작되는 인간관에 반대하면서 실존적 심리치료는 인간의 주관성과 자유를 중시합니다. 실존적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보면,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는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직면하지 못한 채 회피하거나 무력감을 느끼는 상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인간은 죽음, 고독, 자유, 무의미라는 실존적 조건을 용기 있게 직면하고 수용함으로써 진실한 삶을 살수 있다는 것이 실존치료자들의 기본적인 입장입니다. 죽음은 실존적 불안의 원천이지만 죽음을 직면함으로써 삶을 소중한 것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인간은 자신의 사람을 스스로 창조해가는 자유로운 존재이며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실존적 고독 역시 불가피한 실존적 조건이지만 이를 수용함으로써 진정한 인간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우주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인간은 의미를 창조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실존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적 상황에 대한 자각을 증진하도록 촉진합니다. 또한 실존적 조건을 용기 있게 직면하도록 격려하며 자유와 책임의 인식 속에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도록 돕습니다. 실존치료자의 중요한 과제는 내담자가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자신의 선택을 탐색하려는 의지를 촉진하는 겁니다. 이를 통해서 내담자로 하여금 주어진 환경의 수동적인 희생자로 남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대로 삶을 설계하고 영위하는 자유를 깨닫게 합니다. 많은 현대인들이 실존적 조건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은 채 타인과 사회에 의해서 부과된 피상적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갑니다. 실존적 심리치료는 내담자로 하여금 인간 존재의 실존적 상황을 자각하고 자신의 현실적 문제를 자유와 책임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소중한 가치와 의미를 창의적으로 추구하는 진실한 삶을 살도록 돕는 치료방법입니다.

 

  실존치료의 핵심목표는 내담자가 자신의 실존적 조건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킴으로써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진실한 인간이 되도록 돕는 것입니다. 실존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이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촉진하고 이전에는 전혀 인식하지 못했던 관점에서 문제의 해결방법을 발견하도록 돕습니다. 아울러 내담자를 자유롭지 못하게 만든 경직된 신념과 행동패턴을 깨닫도록 돕습니다. 그래서 내담자가 자기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자신에게 있으며 스스로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실존적 불안을 경험하게 되는데, 실존치료자들은 내담자가 이러한 불안을 피하지 않고 직면하도록 이끄는 동시에 자신의 실존상황에 직면하는 존재의 용기를 지니도록 격려합니다.

 

  실존치료자들은 내담자의 과거에는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내담자가 현재나 미래에 행해야 하는 선택에 초점을 맞춥니다. 현재의 실존에 대한 자각능력을 증가시키고 선택의 자유와 책임 의식을 증가시키는 일에 관심을 지닙니다. 인간은 특별한 운명이나 숙명에 의해 결정된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만들어가는 창조적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아울러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 즉 실존적 조건을 지닌 유한하고 고독한 존재라는 것을 수용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수용을 통해서 실존적 불안을 극복하고 인생을 자유로운 것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기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신의 존재 가치를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삶을 향해 스스로 선택하고 실천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내담자가 진실한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출처: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_권석만 저

(많은 도움받은 독자 중 한 사람으로서 도서를 구입하시면 더욱 자세한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