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의 자질>
*자질:타고난 성품이나 소질
1) 전문적인 자질
- 전문가적 자질이란 상담이라는 전문 활동을 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지식과 기술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지식은 상담이론이나 내담자의 발달단계, 성격의 구조와 형성과정, 심리적인 역동 등과 같이 상담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새로운 상담자를 양성하기 위한 사례지도의 방법,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심리적 역동, 연구방법 등과 같이 상담지원활동에 필요한 지식으로 구분된다.
- 기술은 상담활동의 기법에 관한 지식을 토대로 하지만 단순히 아는 수준을 넘어서서 이론과 기법을 실제 상담 장면에 통합하여 가장 적절한 개입을 하고 상담과정에서 순간순간 내려야 하는 판단을 적절히 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지식과 기술은 상담활동과 상담지원활동을 하는 상담자들에게 필요한 자질을 이해하는 두 개의 중요한 축이 된다.
2) 인간적인 자질
- 상담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담활동 및 지원활동과 관련된 전문적 자질 이외에도 상담자의 사람됨과 관련된 인간적인 자질이 갖추어져야 한다.
- 상담자의 인간적인 자질이 밑받침되지 않으면, 상담과정이 잘못되어 내담자의 인간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다.
- 상담자의 인간적인 자질을 대체로 자신에 대한 이해, 타인에 대한 태도, 상담에 대한 태도의 3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Cormier&Cormier(1985)의 상담자의 자질
① 지적 능력 : 상담자는 다양한 조력 이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이러한 것을 배우고자 하는 의욕과 학습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현실적으로 빠른 이해력을 갖추어야 한다.
② 에너지 : 상담은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는 활동이고, 상담자는 적극적인 자세로 상담회기에 임해야 하며, 많은 내담자를 연속적으로 면접할 수 있는 활동성을 유지해야 한다.
③ 융통성 : 유능한 상담자는 특정한 반응 양식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자신의 스타일을 내담자의 요구에 적응시킬 수 있어야 한다.
④ 지지 :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구원자의 역할을 지양하고 내담자 안에 희망과 힘을 북돋워준다.
⑤ 온정 : 상담자는 내담자의 독립심을 키워주며 내담자의 이익을 추구하여야 한다.
⑥ 자기인식 : 상담자는 자신의 태도, 가치관, 감정을 인식하고 어떤 요인이 이러한 자신의 내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⑦ 문화적 경험에 대한 인식 :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404-405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의 종류 - 연합학습, 비연합학습 (0) | 2023.05.19 |
---|---|
학습의 정의,공식-학습이론 (0) | 2023.05.19 |
비행 이론 中 아노미 이론(긴장이론)-머튼 (0) | 2023.04.19 |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비교(개인적 구성주의vs사회적 구성주의) (0) | 2023.04.19 |
마음챙김_변증법적 행동치료(DBT) (0) | 2023.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