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

비행 이론 中 아노미 이론(긴장이론)-머튼

by heimish_0907 2023. 4. 19.
반응형

 

아노미 이론

 

- 비행 이론 중 하나. 머튼의 주장.

- 머튼은 아노미란 문화적으로 규정된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서, 이러한 경우에 비행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기둥을 문화구조와 사회구조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이 이론에 의하면 빈곤한 가정에 태어나 사회구조적으로 매우 불리한 입장에 있는 청소년들은 그들이 원하는 지위를 사회적인 배경 때문에 성취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약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목적을 비행과 범죄라는 수단을 통해서 얻어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동조형
-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을 수용하는 적응방식
- 정상적인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며 반사회적인 것은 아니다.
도피형
-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을 모두 거부하고 사회로부터 후퇴 또는 도피해 버리는 적응방식
- 만성적 알코올중독자 또는 마약 상습자 등이 해당된다.
반역형
- 기존의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을 모두 거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으로 대치하려는 적응방식
- 사회운동가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혁신형
- 문화적 목표는 수용하지만, 제도화된 수단은 거부하는 적응방식
- 비합법적인 수단으로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 대부분의 범죄, 횡령, 탈세, 매춘, 강도, 절도 등이 해당된다.
의례형
- 문화적 목표를 거부하고 제도화된 수단만을 수용하는 적응방식
- 조직의 목표보다는 절차적 규범이나 규칙만을 준수하는데 치중하는 무사 안일한 관료가 대표적이다.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19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