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상담사 및 지도사

긴즈버그의 직업선택이론, 수퍼의 진로발달단계

by heimish_0907 2023. 2. 26.
반응형

※ 긴즈버그의 직업선택이론

- 직업선택은 일생에 걸쳐 이루어지며 그 과정은 비가역적(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쉽게 변하지 않음)이고 개인의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타협적으로 이루어진다.

◆ 긴즈버그의 진로발달단계

환상기
유년기
(11세 이전)
- 주관적, 환상적이며 자신이 바라는 욕구와 행동을 직업선택과 동일시 하는 단계
- 놀이중심 단계(다양한 직업적 역할 놀이)
잠정기
(시험기)
초기 청소년기
(11~17세 미만)
-흥미기 : 좋아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분명한 결정이 있음.
자신의 흥미나 취미에 따라 직업 선택 하려고 함.
-능력기 : 자신의 능력을 깨닫게 되는 단계.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며 직업의 다양성과 직업에 따른
근로조건이 다르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식.
-가치기 : 자신의 직업 스타일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직업선택 시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인식하게 됨.
-전환기 : 직업선택에 대한 결정과 진로선택에 수반되는 책임의식이
생김. 현실인식을 하게 되는 시기.
- 현실적인 요인을 적당히 고려하여 희망하는 직업을 잠정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현실기
청소년 중기
(17세~성인초기)
- 현실적인 요인과 개인적, 주관적 요소와 타협이 이루어지는 단계
- 탐색 : 진로선택을 2-3가지 정도로 좁혀가며 취업기회를 탐색
- 명료화(정교화) 단계 : 자신의 직업목표를 구체화, 직업선택의 문제에서 내외적 요인들을 고려하게 됨. 타협이 중요한 요인.
- 구체화(특수화) 단계 : 자신의 결정을 구체화하고 보다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고도로 세분화, 전문화된 의사결정을 하게 됨.

※ 수퍼의 진로발달단계

성장기
출생 ~ 14세
-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지만 점차 흥미와 능력을 중시함
- 환상기, 흥미기, 능력기
탐색기
15 ~ 24세
- 자아를 검증하고 역할을 수행, 직업탐색을 시도함
- 잠정기, 전환기, 시행기
확립기
25 ~ 44세
-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해서 종사하고 생활의 터전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시기
- 수정기, 안정기
유지기
45 ~ 64세
- 안정된 속에서 비교적 만족스런 삶을 영위하며 직업세계에서 자신의 위치가 확고해지며 자신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 안정된 삶을 살아가는 시기
쇠퇴기
65세 이후
- 모든 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직업세계에서 은퇴하게 되기 때문에 자신이 해오던 일의 활동이 변화되고 또 다른 자신의 일에 대한 활동을 찾게 되는 시기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151-15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