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상담사 및 지도사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엘킨트)-개인적 우화, 상상의 청중

by heimish_0907 2023. 2. 26.
반응형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은 크게 "개인적 우화""상상의 청중"의 형태로 나타난다.

<개인적 우화>

- 청소년들은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세계는 다른 사람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믿는 것

- 청소년 자신의 독특성에 대한 비합리적이고 허구적인 신념을 지칭한 것

ex)"아빠는 내가 어떤 기분인지 알아요? 아무도 모를 거에요."

- 부정적인 측면 : 청소년들의 음주운전이나 마약, 성 문란 등의 파괴적인 행동을 범하는 것

- 개인적 우화 현상은 청소년에게 현실검증 능력이 생기면서 자신과 타인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정립하게 되면서 사라진다.

<상상의 청중>

-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믿는 것

- 늘 자신을 지켜본다고 생각하는 타인이 바로 상상 속의 청중의 됨

-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마치 자신이 무대에 선 주인공이고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보고 있는 관중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

ex) 잠깐 집 앞에 심부름 갈 때도 거울 앞에서 머리모양을 만지고, 얼굴의 여드름이나 옷 색깔 등에 신경쓰며 한참 시간이 걸리는 것. 거울 앞에서 보이지 않는 광중들에게 자기의 모습을 뽐내며 도취되곤 하는 행동.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13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