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

로샤검사에서 사용하는 채점지표(반응의 채점지표), 잉크반점검사

by heimish_0907 2023. 6. 3.
반응형

 

 

심리측정및평가 - 투사적검사

 

 

<로샤검사(Rorschach)에서 사용하는 채점지표, 반응의 채점지표>

 

- 반응 채점은 Rorschach 검사에 대한 반응을 Rorschach 부호로 바꾸는 과정이다.

- Rorschach 반응을 부호로 바꾼 다음에는 각 부호의 빈도, 백분율, 비율, 특수 점수를 산출하여 이러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요약하고 해석을 시도하게 된다.

- 종합체계의 반응은 9가지 항목으로 채점된다. (액스너, Exner)

(1) 반응의 위치(반응영역) : 피검자가 블롯의 어느 부분에 반응했는가?

(2) 반응 위치의 발달 질 : 위치 반응은 어떤 발달수준을 나타내는가?

(3) 반응의 결정요인 : 반응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준 블롯의 특징은 무엇인가?

(4) 형태질 : 반응된 내용은 자극의 특징에 적절한가?

(5) 반응내용 : 반응은 어떤 내용 범주에 속하는가?

(6) 평범 반응 : 일반적으로 흔히 일어나는 반응인가?

(7) 조직(화) 활동 : 자극을 조직화하여 응답했는가?

(8) 특수점수 : 특이한 언어반응이 일어나고 있는가?

(9) 쌍 반응 : 사물을 대칭적으로 지각하고 있는가?

 

반응의 위치 해석 - 로샤검사에서 반응 영역을 채점하는 지표


ㄱ. W반응 (whole response) : 전체 반응
ㄴ. D반응 (common detail response) : 부분 반응. 흔히 사용되는 영역
ㄷ. Dd반응 (unusual detail response) : 드문 부분 반응. 드물게 사용되는 영역
ㄹ. S반응 (white response) : 공백 반응. 공백 부분이 사용된 영역

 

*참고 : 김형준 유상현 공저, 『청소년상담사3급이론서』 나눔씨패스, 2019, p.376

 

2023.06.03 - [상담이론] - 병전지능, 심리측정 및 평가 웩슬러 지능검사

 

병전지능, 심리측정 및 평가 웩슬러 지능검사

"심리측정및평가 - 웩슬러지능검사" -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병전지능이라는 것은 원래의 지능수준을 말한다. 병전지능은 지능검사를 시행한 후 피검사자의 원래의 지능수준을 추정하여 현재의

heimish0907.tistory.com

 

2023.06.01 - [상담이론] - 귀인이론 와이너 - 귀인 편향의 유형

 

귀인이론 와이너 - 귀인 편향의 유형

- 와이너의 귀인이론 - 1. 기본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결과와 부분적으로, 혹은 훨씬 더 인과적으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그들의 특성

heimish0907.tistory.com

반응형

댓글